키워드로 검색하세요
토론토 생활 길잡이, 코리아포탈이 함께합니다
제목
  학년별 학교생활 : Grade 11 ~ Grade 12
작성자
IGE
작성일
2009-05-10
조회
3503

전학년때와달라지는점들


11~12학년은 학생들이 지금까지 학습하고 배워온 지식, 기술, 태도 등을 더욱 증축하는 기간이며 상위교육 기관이나 사회의 직장세계로 나갈 준비를 하는시점이다.

- 졸업을 위한 필수 및 선택과목이수 및 학점취득

향후 학업 및 취업에 필요한 과목선택 및 이수

- 11~12 학년의 과목들이 내신에 들어감으로 과목선정 뿐만 아니라 성적관리에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

- 졸업시험이 있는 과목은 학교성적(내신)이 60% 반영되고 주졸업시험 성적이 40% 반영된다.

- Provincial Exams (주시험)
졸업을 위한 주시험을 준비해야 함


- Work Experience (근로경험)
졸업 필수과목인 CAPP 과목에 30시간의 근로시간 경험이 포함되어 있음



교육표준

BC주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들을 통해 주 전역의 학교와 교육위원회가 일관성있는 교육표준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지역이나 학교에 상관없이 같은 학업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

Provincial Letter Grades (주성적기준)

Provincial Grade 12 Examinations (주시험): 12학년졸업시험

Individual School Accreditations (사립학교인가)

School District Annual Reports (교육위원회연례보고서)


평가/시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Provincial Student Assessment Program (BC주학습평가/시험제도)” 파일을 참조하기 바란다.


수업과목


학생들은 11~12 학년동안 졸업을 하기 위해 Foundation Studies ( 기초 필수 과목) 에서 최소 28 학점과 Selected Studies ( 선택 과목) 에서 최소 24 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졸업 과목으로 인정되는 코스들은 과목에 11 이나 12 의 숫자가 명시된 과목들이며 대부분의 과목들이 4 학점 짜리 코스이다. 통상 1 학점 당 30 시간의 수업을 필요로 한다.

Foundation Studies ( 기초 필수 과목; 최소 28 학점)

- Language Arts 11 (4학점)

- Language Arts 12 (4학점)

- Social Studies (4학점)

- Mathematics 11 또는 12 (4학점)

- Science 11 또는 12 (4학점)

- Fine Arts (2학점)

- Applied Skills 11 (2학점)

- Career and Personal Planning 11 (2학점)

- Career and Personal Planning 12 (2학점)


Selected Studies ( 선택 과목; 최소 24 학점)

- Grade 12 과목 (과목 “12” 라는 숫자가 명시된 과목) 에서 최소 10학점 이상

- 선택과목의 최소 이수 24 학점 중 16 학점 이상을 주에서 승인한 코스에서 학점을 이수

- 선택과목의 최소 이수 24 학점 중 8 학점 까지는 학교나 교육위원회에서 자체 개발한 코스의 학점 인정


과목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11학년~12학년 까지의 교과과정” 파일을 참조하기 바라며 졸업학점이나 과목이수에 대한 자료는 “졸업필수이수학점” 파일을 참고 하기 바란다.


학습평가및통지

교사가 학부모들에게 자녀들의 학업내용에 대한 통지는 공식적인 성적표와 비공식적인 전화, 메모, 상담 등을통해 이루어 지며 통지하는 주된 내용들은 다음과같다.

- what the student is able to do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것들)

- where that student needs further attention or development (보다 관심 혹은 개발이 필요한 분야)

- ways to support the student in his or her learning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교사들은 교육부에서 권고하는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학기동안 아래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기록 및 평가하여 학업성적을 내는 기준으로 삼는다.

- Observation and conversation (관찰 및 대화)

- Student self-assessments (학생자기평가)

- Daily practice assignments (숙제)

- Quizzes (퀴즈시험)

- Paper-and-pencil tests (시험)

- Projects (프로젝트수행)

- Oral and written reports (구두 및 서면 리포트)

- Portfolio assessments (계획서평가)

- 주시험을 치러야하는 과목들의 주시험결과


성적표관련사항

11~12 학년의 성적표는 과목들의 이수 여부를 나타내며 과목에 따라 주시험을 본 경우 학생의 학교내신성적, 주시험성적, 최종성적 및 평가가 표시된다. 성적표에는성공적으로 과목을 이수한 과목만 명기된다.


성적표는 학생들의 졸업년도의 7월말 혹은 8월초에 집으로 발송되며 동시에 성적표 사본이 학생이 “Post-Secondary Institution Choices (PSI Choice; 고등교육기관선택) ” 양식에 기재한 학교들로 직접 발송된다. PSI 양식은 고등학교졸업 후 상위교육기관에 진학하고자하는 학생들이 제출하는 양식으로 교육부가 양식에 기재된 학교들로 학생들의 성적표를 직접 발송하게 되는 것이다.


양식에 기재 된 학교 외에 추가로 성적표 사본을 원할 경우 학생이름, PEN (번호)를 양식에 적고 신청비와 함께 아래의 교육부 주소로 발송하면 된다.

Ministry of Education
Data Management and Student Certification Branch
Attention: Transcript Clerk
PO Box 9886 STN PROV GOVT
Victoria British Columbia V8W 9T6
phone: (250) 356-2432 fax: (250) 356-0171

Sample Transcript of Grades (성적표 견본)

아래의 견본은 54학점을 취득한 12 학년 학생의 성적표이다. 주시험이 있는 과목은 School (내신 성적)이 60% 반영되고 Exam (주시험)이 40% 반영된다. 아래 학생의 Biology 12 과목을 예로 들면 내신은 80점이고 주시험은 90점이다. 즉, (80 Ï 60%) + (90점 Ï 40%) = 84점으로 Grade B에 해당된다.


성적표에는 학생들의 과목별 성적외에도 학습태도, 습관 및 통상 기대되는 학습결과 대비 자녀의 학습능력 등에 대해서도서술한다. 아래의 표는성적표에 표기되는 성적의 의미와 기타기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성적 점수 (%) 의미

A 86 ~ 100 %
과목/코스/학년에서 기대하는 학습결과와 관련해 탁월한 혹은 뛰어난 성과를나타 냈음을 의미

B 73 ~ 85 %
과목/코스/학년에서 기대하는 학습결과와 관련해 매우 좋은 성과를 나타 냈음을 의미

C+ 67 ~ 72 %
과목/코스/학년에서 기대하는 학습결과와 관련해 좋은 성과를 나타 냈음을 의미

C 60 ~ 66 %
과목/코스/학년에서 기대하는 학습결과와 관련해 허용 가능한/적절한 성과를나타냈음을 의미

C- 50 ~ 59 %
과목/코스/학년에서 기대하는 학습결과와 관련해 최저로 허용 가능한 성과를나타 냈음을 의미

I


In progress or Incomplete;

진행중으로 성적을 매길 수 없는 상태나 준 낙제 상태
과목/코스/학년에서 기대하는 학습결과와 관련해 최저로 허용 가능한 성과를내지 못했음을 의미하여 공식적 인성적표에 “I” 로 기재됨

학생이 “I”를 받은 경우 학생은 현재과목이 요구하는 기준/결과를 맞추지 못했음을 말하는데 경우에 따라 출석미비, 과제미비 등이 원인이 될 수 도있다. 교사는 학기중 이라도 학생에게 “I” 를 줄 수 있으며, 이 경우 학생과 부모에게 통지하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면담의 기회가 주어진다. 이 면담을 통해 교사는 학생에게 “I”를 준 이유와 문제해결을 위한 학업계획을 논의하게 된다.

F

Failed or Failing; 낙제
과목/코스/학년에서 기대하는 학습결과와 관련해 전혀 성과를 내지 못 했거나 최저로 허용가능한 성과도 내지 못했음을 의미.

“F (낙제)” 는 해당과목에 대해 전에 “I” 를 받았고 계속해서 과목을 이수하지 못 한 경우에만 “F” 로 기재된다. 교사가 바로 F (낙제)를 주지않는 이유는 “I”를 받은 학생 및 부모에게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할 기회를 한번 더 주기위함이다. 단, 11~12 학년의 학생이 주 시험에서 아주 낮은점수를 받았을 경우에한해 예외적으로 바로 “F” 를 주는 경우도 있다.


이외에도 성적표에는 다음과 같은 기호가 나올 수 도 있다.


기호 의미

W Withdrawal;

과목면제
교육위원회정책에 의거하여 학교의 행정관은 부모의 요청이 있을시 학생이 수업 받아야 하는 과목 혹은 코스의 면제를 승인해 줄 수 있다.

SG

Standing Granted; 이수인정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학습을 마치지 못 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이 해당 과목에 대한 적절한 수준에 도달 했다고 승인 하는것으로 이는 학생의 입장을 최대한 고려해 내리는 결과이다. 통상 학생이 중병, 입원, 질병으로 인한 조퇴, 지각으로 인해 부득이 수업을 제대로 받지 못 한 경우로 학교행정관이 적절한 절차에 의해 과목의 이수를 승인한다.

TS


Transfer Standing; 이전이수
TS는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치른 시험을 근거로 학교의 행정관이 과목의 이수를 승인하는 것이며 시험성적을 기준으로 과목의 성적을 표기한다.


학습기대치를 못 맞추는 경우


만약 학생이 학년에서 요구되는 학습기대치를 충족하지 못 할 경우 “Intervention Strategy (조정정책)” 이 시도된다. 이 과정의 첫 단계는교사가 교수방법 조정, 다른 교육자료 이용 및 평가이용, 시간조정 등의 학습 환경을 변경 혹은 조정하게 된다. 첫 단계를 통해서도 학습 결과가 나아지지 않을 경우, 부모, 담당교사 및 카운셀러가 모여 향후대책을 논의하게 되는데 추가적인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담당교사, 학습보조교사 혹은 보조 인력을 통해 개별 수업강화


-부모가 가정에서 자녀에게 보다 많은 시간을 쏟음


-컴퓨터를 통한 보조학습


-여름학교 프로그램


-방과전, 후 프로그램


-성인, 학생, 혹은 교사후원자 제도


상기 프로그램들의 목적은 학생들이 빠른 시일안에 정규과정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하는 것인데 프로그램의 기간은 학생이나 진행 결과에 따라 수일, 수주 혹은 더 많은 기간이 소요될 수 도있다.

만약 학생이 “Intervention Strategy (조정정책)” 후에도 학습 요구치를 맞추지 못 할 경우 부모, 교사 및 교장은학생의 교육적, 정서적, 사회적영향을 잘 고려하여 학생이 같은 학년을 다시 학습하도록 결정 할 수 도 있다. 이를 “Retention“ 이라고도 부르는데 학부모와 교사는 학생이 같은 학년에서 다시 학습하더라도 교재나 학습방법을 달리하여 보다 나은 학습결과를 얻도록 상호협력 한다.


위의 과정은 단순히 동학년에서 요구하는 학습요구치를 따라 가지 못 하는 학습부진의 경우이며 신체장애로인한 특수학습방법이 요구되는 학생에게는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 개별화된교육계획) 으로 불리는 Modified /Adapted Program이 제공된다. IEP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특수교육 (IEP)” 파일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자녀교육에 대한 문제가 있을 경우


자녀교육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담당교사와 논의하는 것인데 전화, 서신, 면담을 통해 문제 언급 및 상담을 하면된다. 자녀들에 관한 문제라면 무엇 이든지 상의해도 좋으며 대부분의 문제는 이 단계에서 해결된다. 영어에 자신이 없더라도 가능한 교사와의 상담을 겁내지 말고 사전에 하고 싶은 내용을 영어로 잘 정리해 대화에 임하거나 자녀를 통해 서신으로 내용을 전달해도 된다.


만약 교사와의 단계에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거나 교사와 상의 할 문제가 아닐 경우에는 학교의 교감 혹은 교장선생님과 논의를 할 수 있으며 학교에서는 부모가 제기하는 문제를 학교자체적으로 해결 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학교수준에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부모는 교육청의 Superintendent (교육감) 이나 관련직원에게 문제를 언급하고 도움을 청할 수 있다. 자녀가 속한 교육청은 “BC주교육청” 파일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그 외에도 학부모나 학생들의 문제해결을 도와 주는 단체인 BC Confederation of Parent Advisory Councils (BCCPAG; BC주학부모연합회, TEL: 1-888-351-9834) 를 통해서도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 단체는 학부모들이 자신들의 자녀들을 옹호하고 문제해결에 공평하고 공정하며 효과적인 해결책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작성자 패스워드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현재글
IGE
2009/05/10
3503
48
IGE
2009/05/08
3209
47
IGE
2009/05/08
2820
46
IGE
2009/05/07
2905
45
IGE
2009/05/06
2788
44
IGE
2009/05/06
2777
43
IGE
2009/05/04
2223